아틀라스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틀라스 FC는 1916년 멕시코 과달라하라에서 앰플포스 칼리지 유학 경험이 있는 친구들에 의해 창단된 멕시코의 축구 클럽이다. 그리스 신화의 아틀라스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앰플포스 칼리지의 수호성인을 따라 빨간색과 검은색을 팀 색상으로 사용한다. 1945-46 시즌 코파 MX에서 우승하며 첫 타이틀을 획득했고, 1950-51 시즌에는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대 후반에는 리카르도 라 볼페 감독의 지휘 아래 황금기를 맞이했으며, 2021년 70년 만에 두 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라이벌은 과달라하라 FC이며, 멕시코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더비인 '클라시코 타파티오'를 형성한다. 아틀라스 FC는 오스왈도 산체스, 라파엘 마르케스 등 많은 국가대표 선수를 배출한 유소년 시스템으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6년 설립된 축구단 - 아틀란테 FC
아틀란테 FC는 1916년에 창단된 멕시코의 축구 클럽으로, 1946-47 시즌에 첫 리그 우승을 하였고, CONCACAF 챔피언스컵과 CONCACAF 챔피언스 리그에서 각각 우승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1916년 설립된 축구단 - 클루브 아메리카
클루브 아메리카는 1916년에 창단된 멕시코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멕시코시티를 연고지로 에스타디오 아스테카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멕시코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팀이다. - 리가 MX 구단 - 크루스 아술
크루스 아술은 멕시코시티를 연고로 하는 멕시코 프로 축구 클럽으로, 리가 MX 9회 우승과 CONCACAF 챔피언스컵 6회 우승을 기록하며 멕시코 축구의 강호로, 1970년대 리그 4연패와 2021년 23년 만의 리그 우승을 통해 전성기를 누렸고, "라 마키나 셀레스테"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 리가 MX 구단 - 클루브 아메리카
클루브 아메리카는 1916년에 창단된 멕시코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멕시코시티를 연고지로 에스타디오 아스테카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멕시코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팀이다. - 리가 MX - 크루스 아술
크루스 아술은 멕시코시티를 연고로 하는 멕시코 프로 축구 클럽으로, 리가 MX 9회 우승과 CONCACAF 챔피언스컵 6회 우승을 기록하며 멕시코 축구의 강호로, 1970년대 리그 4연패와 2021년 23년 만의 리그 우승을 통해 전성기를 누렸고, "라 마키나 셀레스테"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 리가 MX - 클루브 아메리카
클루브 아메리카는 1916년에 창단된 멕시코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멕시코시티를 연고지로 에스타디오 아스테카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멕시코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팀이다.
| 아틀라스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풀 네임 | Atlas Fútbol Club |
| 별칭 | "Los Rojinegros" (붉은색과 검은색) "Los Zorros" (여우들) "La Academia" (아카데미) "La Furia" (분노) "Las Margaritas" (데이지 꽃) |
| 약칭 | ATS |
| 창단 | 1916년 8월 15일 |
| 홈 경기장 | 에스타디오 할리스코 |
| 수용 인원 | 56,713명 |
| 구단주 | Grupo Orlegi |
| 회장 | 호세 리에스트라 |
| 감독 | 곤살로 피네다 |
| 리그 | 리가 MX |
| 시즌 | Apertura 2024 |
| 최종 순위 | 정규 시즌: 10위, 최종 단계: 플레이-인 라운드 |
| 웹사이트 | atlasfc.com.mx |
| 유니폼 정보 |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atlas2425h pattern_b1: _atlas2425h pattern_ra1: _atlas2425h pattern_sh1: _atlas2425h pattern_so1: _classicfootball leftarm1: 1B1B1B body1: 1B1B1B rightarm1: 1B1B1B shorts1: 1B1B1B socks1: 1B1B1B |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atlas2425a pattern_b2: _atlas2425a pattern_ra2: _atlas2425a pattern_sh2: _atlas2425a pattern_so2: _classicfootball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 써드 유니폼 | pattern_la3: pattern_b3: pattern_ra3: pattern_sh3: pattern_so3: socks3: |
| 최근 시즌 | |
| 현재 시즌 | 2023–24 아틀라스 FC 시즌 |
2. 역사
아틀라스 FC는 1916년 멕시코 과달라하라에서 잉글랜드 노스요크셔의 앰플포스 칼리지 유학 경험이 있는 친구들을 중심으로 창단되었다. 알폰소와 후안 호세 "리코" 코르티나, 페드로 "페리코"와 카를로스 페르난데스 델 바예, 세 명의 오렌다인 형제, 베를린 유학생 페데리코 콜리뇽 등이 팀 창단에 참여했으며, 팀명은 그리스 신화의 티탄족 아틀라스에서 따왔다.
1990년대 후반 리카르도 라 볼페 감독 시기에는 라파엘 마르케스, 다니엘 오소르노 등 유망주들이 있었으나, 1999년 베라노 결승에서 데포르티보 톨루카 FC에 승부차기로 패했다.
2000년과 200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참가하여 8강에 진출했다. 2014년 아페르투라 2위로 2015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 아틀레티코 미네이루 원정 승리로 37년 무패 기록을 깼으나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2021년 12월 12일, 클럽 레온을 승부차기로 꺾고 70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5] 2022년 5월 29일, 파추카를 합계 3-2로 꺾고 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2022년 3월 5일, 케레타로와의 경기에서 관중 폭동이 발생했다.[6]
2. 1. 창단 초기 (1916~1950년대)
1916년 8월, 그리스 신화의 티탄족 아틀라스에서 이름을 따 '아틀라스'로 창단되었다. 알폰소와 후안 호세 "리코" 코르티나, 페드로 "페리코"와 카를로스 페르난데스 델 바예, 세 명의 오렌다인 형제와 베를린에서 유학한 페데리코 콜리뇽 등이 잉글랜드 노스요크셔의 앰플포스 칼리지에서 유학하던 친구들의 경험을 떠올리면서 창단하였다. 팀의 색상은 아틀라스의 수호성인인 성 로렌스를 선택한 앰플포스 칼리지의 색상을 본떠 빨간색과 검은색으로 정했다. 빨간색은 성 로렌스의 피를, 검은색은 그의 순교를 의미한다.구단 최초의 타이틀은 1945–46 시즌의 코파 MX로, 결승에서 아틀란테 FC를 꺾었다. 같은 해에 CD 베라크루스를 상대로 수퍼컵(리그 vs 컵 챔피언)에서 3–2로 승리했다. 4년 후, 1949–50 시즌에 두 번째 코파 MX에서 우승했다. 이듬해 1950–51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시즌에서 22경기에서 12승을 거두며 첫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다.[5] 하지만 2년 후, 아틀라스는 탐피코에게 4–0으로 패한 후 처음으로 강등되었다. 그러나 다음 시즌, 아틀라스는 곧바로 1부 리그로 복귀했다.
2. 2. 1990년대: 황금기와 좌절
리카르도 라 볼페 감독의 지휘 아래 아틀라스는 1990년대 후반 황금기를 맞이했다. 이 시기에는 라파엘 마르케스, 다니엘 오소르노, 후안 파블로 로드리게스, 파벨 파르도, 마리오 멘데스, 오마르 브리세뇨, 미겔 세페다와 같은 유망주들이 활약했다. 그러나 이들은 뛰어난 재능에도 불구하고 1999년 베라노 결승전에서 데포르티보 톨루카 FC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 우승을 놓쳤다.[5]2. 3. 2000년대 이후: 국제 무대 도전과 두 번째 전성기
리카르도 라 볼페 감독의 지도 아래, 아틀라스는 1990년대 후반에 황금기를 맞이했다. 라파엘 마르케스, 다니엘 오소르노, 후안 파블로 로드리게스, 파벨 파르도, 마리오 멘데스, 오마르 브리세뇨, 미겔 세페다와 같은 유망주들이 있었지만, 1999년 베라노 결승에서 데포르티보 톨루카 FC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 우승을 놓쳤다.2000년, 아틀라스는 처음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참가했다. 예선에서 클럽 아메리카, 데포르티보 타치라 FC, 데포르티보 이탈차카오를 상대하여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에서는 리버 플레이트, U. 데 칠레, 아틀레티코 나시오날과 같은 조에 속하여 조별 리그를 통과했다. 16강에서 아틀레티코 후니오르를 합계 5–1로 꺾었으나, 8강에서 파우메이라스에게 합계 5–2로 패했다.
2008년에는 두 번째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참가했다. 예선 토너먼트인 인터리가에서 톨루카와 동률을 이룬 후 동전 던지기로 본선 진출을 결정지었다. 본선에서는 보카 주니어스, 콜로-콜로, 우니온 아틀레티코 마라카이보와 같은 조에서 1위를 차지했다. 16강에서 CA 라누스를 합계 3–2로 이겼으나, 8강에서 다시 만난 보카 주니어스에게 합계 5–2로 패했다.
2014년 아페르투라에서 2위를 차지한 아틀라스는 2015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했다. 토마스 보이 감독이 이끄는 팀은 인데펜디엔테 산타 페, 아틀레티코 미네이루, 콜로-콜로와 조별 리그를 치렀다. 아틀라스는 아틀레티코 미네이루를 상대로 원정에서 승리하며 37년 무패 기록을 깨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지만, 결국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2021년 12월 12일, 아틀라스는 클럽 레온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70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5] 2022년 5월 29일에는 파추카를 합계 3-2로 꺾고 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2022년 3월 5일, 케레타로와의 경기에서 관중 폭동이 발생했다.[6] 이 사건으로 최소 22명이 부상당했으며,[8] 리가 MX는 케레타로 관련 ''바라스''의 홈 경기 참석을 금지하는 제재를 가했다.[9] 중단되었던 경기는 아틀라스의 3-0 승리로 처리되었다.[10]
2. 4. 2022년 케레타로-아틀라스 폭동
2022년 3월 5일, 케레타로 경기장에서 열린 아틀라스와 케레타로의 경기 도중 관중들 사이에서 폭동이 발생했다.[6] 소셜 미디어에 게시된 영상에는 여러 남성들이 피해자들을 구타하고, 발로 차고, 끌고 다니며, 옷을 벗기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7] 케레타로 주 민방위청에 따르면 최소 22명의 남성이 부상을 입었다.[8] 리가 MX는 폭동에 대한 대응으로 케레타로 관련 ''바라스''가 최대 6개월 동안 홈 경기에 참석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재를 가했다. 아틀라스는 0-1로 중단된 경기에서 0-3 승리를 거두었다.[9][10]3. 클럽 문화
아틀라스 FC는 성공적인 유소년 아카데미 시스템으로 명성이 높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아틀라스 FC는 국내 및 국제적으로 프로 경력을 쌓은 많은 선수들을 배출했다. 많은 젊은 선수들이 아틀라스 FC 유소년 아카데미에 입단하는데, 이는 구단 철학에 따라 유소년 선수들에게 1군으로 승격될 기회를 부여하기 때문에 1군에서 뛸 수 있는 높은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틀라스 FC는 리그 챔피언십에서 단 세 번 우승했지만, 자레드 보르게티, 다니엘 오소르노, 호세 데 헤수스 코로나, 파벨 파르도, 오스왈도 산체스, 라파엘 마르케스 등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을 배출하여 아카데미가 유명하다. 구단의 하부 유소년팀은 국내 및 국제적으로 많은 타이틀을 획득했다.
3. 1. 에스타디오 할리스코

아틀라스는 멕시코에서 세 번째로 큰 경기장인 에스타디오 할리스코에서 경기를 치른다. 1960년 1월 31일에 건설된 이 경기장은 펠레의 브라질을 포함하여 역사적인 경기와 팀들의 개최지였다. 1970년 FIFA 월드컵에서 총 8경기(조별 예선 6경기, 8강 2경기, 준결승 1경기)가 열렸고,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총 9경기(조별 예선 6경기, 16강전 1경기, 8강 1경기, 준결승 1경기)가 개최되었다.
에스타디오 할리스코는 1960년 1월 31일에 개장한 아틀라스의 홈구장이다. 멕시코에서 3번째로 수용 인원이 많은 경기장으로, 1970년 FIFA 월드컵과 1986년 FIFA 월드컵 경기를 개최했다. 과거 치바스 과달라하라도 에스타디오 할리스코를 사용했지만, 2010년 에스타디오 옴니라이프로 홈구장을 이전했다.
3. 2. 서포터스와 라이벌리
아틀라스 팬들은 전체적으로 라 피엘|La Fiel|충실한 자들es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조직 응원 단체는 라 바라 51|La Barra 51es이다. '라 바라 51'이라는 이름은 1951년 아틀라스가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첫 번째 챔피언십을 달성한 것을 기념하여 붙여졌다. 팀의 부진한 성적에도 불구하고 라 피엘|La Fieles은 70년 동안 주요 성과 없이 팀을 응원하며 그들의 이름값을 증명했다.[1]아틀라스의 가장 강력한 라이벌은 과달라하라 시의 라이벌인 CD 과달라하라(일명 '치바스')이다. 이 더비는 클라시코 타파티오로 알려져 있으며, 191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멕시코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더비로 여겨진다. 두 팀 간의 첫 경기는 아틀라스가 창단된 직후 열린 친선 경기였으며, 0-0으로 비겼다. 첫 공식 경기는 1917년 "토르네오 데 프리마베라"(봄 토너먼트)에서 열렸으며, 아틀라스가 2-1로 승리했다. 그러나 이 경기는 치바스가 심판의 형편없는 경기 운영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면서 논란을 일으켰다. 치바스는 그 결과에 격분하여 심판 위원장인 후스토 가르시아 고도이가 사임하지 않으면 1917-18년 "리가 아마추어 데 할리스코" 토너먼트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거부했다. 고도이가 사임하지 않자 치바스는 토너먼트 참가를 거부했다.[1]
치바스는 과달라하라 더비에서 35번의 공식 경기 중 16번을 승리하여 가장 많은 승리를 거두었다. 아틀라스는 9번 승리했으며, 8번은 무승부로 끝났다.[1]
과달라하라를 연고로 하는 치바스 과달라하라와 라이벌 관계에 있으며, 양 클럽의 대결은 클라시코 타파티오라고 불린다. 치바스는 1906년에 설립되어 노동자 계급에게 인기가 있는 클럽이고, 아틀라스는 1916년에 설립되어 중산층에게 인기가 있는 클럽이다. 1916년 첫 대결이 이루어진 이래 멕시코에서 가장 오래된 로컬 더비로 여겨진다. 초창기 대결에서 치바스 팬들은 아틀라스 선수에게 마르가리타스(마가렛)라는 별명을 붙였고, 아틀라스 팬들은 치바스에게 치바스 로카스(미친 염소)라는 별명을 붙였다. 이들은 모욕적인 의미를 담고 있었지만, 현재는 각 서포터들이 자기 클럽을 이야기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1]
3. 3. 유소년 아카데미
아틀라스 FC는 성공적인 유소년 아카데미 시스템으로 명성이 높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아틀라스 FC는 국내 및 국제적으로 프로 경력을 쌓은 많은 선수들을 배출했다. 많은 젊은 선수들이 아틀라스 FC 유소년 아카데미에 입단하는데, 이는 구단 철학에 따라 유소년 선수들에게 1군으로 승격될 기회를 부여하기 때문에 1군에서 뛸 수 있는 높은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틀라스 FC는 리그 챔피언십에서 단 세 번 우승했지만, 아카데미는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을 배출하여 유명하다. 배출한 선수로는 자레드 보르게티, 다니엘 오소르노, 호세 데 헤수스 코로나, 파벨 파르도, 오스왈도 산체스, 라파엘 마르케스, 후안 카를로스 메디나, 호르헤 에르난데스, 마리오 멘데스, 미겔 세페다, 후안 파블로 로드리게스, 후안 파블로 가르시아, 호엘 에레라, 호르헤 토레스 니로, 에드가르 이반 파체코, 안드레스 과르다도, 제레미 마르케스, 디에고 바르보사 등이 있다. 구단의 하부 유소년팀은 국내 및 국제적으로 많은 타이틀을 획득했다.


아틀라스는 멕시코에서도 유수의 유소년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1990년대 이후만 해도 다음 선수들이 아틀라스에서 1군 데뷔하여 후에 멕시코 대표로 선출되었다.
| 데뷔 연도 | 선수 | 주요 경력 및 비고 |
|---|---|---|
| 1993년 | 오스왈도 산체스 | FIFA 월드컵 3개 대회 출전, 99경기 출전 |
| 1994년 | 하레드 보르게티 | 멕시코 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 |
| 1996년 | 라파엘 마르케스 | AS 모나코, FC 바르셀로나 등 유럽 클럽 활약, 멕시코 대표팀 주장, 116경기 출전 |
| 1996년 | 미겔 세페다 | 멕시코 대표 50경기 출전 |
| 1997년 | 다니엘 오솔노 | 아틀라스에서 리그전 278경기 출전, 멕시코 대표 57경기 12골 |
| 1997년 | 후안 파블로 로드리게스 | 코파 아메리카 2001 출전 |
| 1998년 | 파벨 파르도 | 멕시코 대표 역대 2위 148경기 출전 |
| 1998년 | 마리오 멘데스 | CONCACAF 골드컵 우승 (2003년) |
| 1999년 | 후안 파블로 가르시아 | CONCACAF 골드컵 우승 (2005년) |
| 2002년 | 호세 데 헤수스 코로나 | 2005년 멕시코 대표 첫 선발 |
| 2003년 | 후안 카를로스 메디나 | 2005년 멕시코 대표 데뷔 |
| 2004년 | 우고 아야라 | 2009년 멕시코 대표 데뷔 |
| 2005년 | 안드레스 과르다도 |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발렌시아 CF 등 스페인 클럽 활약, 멕시코 대표 100경기 이상 출전 |
| 2006년 | 호르헤 토레스 니에로 | CONCACAF 골드컵 우승 (2011년) |
| 2007년 | 호르헤 에르난데스 | FIFA U-17 월드컵 우승 (2005년), 2007년 멕시코 대표 데뷔 |
| 2008년 | 에드가르 이반 파체코 | 코파 아메리카 2011 출전 |
4. 우승 기록
아틀라스 FC는 국내 대회와 국제 대회에서 다양한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국내 대회'''
- 리가 MX: 3회 우승 (1950-51, 아페르투라 2021, 클라우수라 2022)
- 코파 MX: 4회 우승 (1945-46, 1949-50, 1961-62, 1967-68)
- 캄페온 데 캄페오네스: 5회 우승 (1946, 1950, 1951, 1962, 2022)
- 세군다 디비시온: 3회 우승 (1954-55, 1971-72, 1978-79)
- 캄페온 데 캄페오네스 데 라 세군다 디비시온: 1회 우승 (1971-72)
'''국제 대회'''
- 코파 말보로: 1회 우승 (1990)
- 코파 콰드랑굴라르: 2회 우승 (2010, 2011)
4. 1. 국내 대회
| 유형 | 대회 | 우승 | 우승 연도 | 준우승 |
|---|---|---|---|---|
최상위 리그 | 리가 마요르/프리메라 디비시온/리가 MX | 3 | 1950–51, 아페르투라 2021, 클라우수라 2022 | 1948–49, 1965–66, 베라노 1999 |
| 코파 멕시코/코파 프레지덴테/코파 MX | 4 | 1945–46, 1949–50, 1961–62, 1967–68 | 1995–96, 아페르투라 2013 | |
| 캄페온 데 캄페오네스 | 5 | 1946, 1950, 1951, 1962, 2022 | 1968 | |
| 수페르코파 데 라 리가 MX | 0 | – | 2022 | |
| 승격 리그 | 세군다 디비시온 | 3 | 1954–55, 1971–72, 1978–79 | – |
| 세군다 디비시온 코파 | 0 | – | 1954–55, 1971–72 | |
| 캄페온 데 캄페오네스 데 라 세군다 디비시온 | 1 | 1971–72 | 1954–55 |
4. 2. 국제 대회
5. 선수 명단
다음은 아틀라스 FC에서 활동했던 주요 선수 명단이다.
- 오스왈도 산체스 (1993-1996)
- 파벨 파르도 (1993-1998)
- 하레드 보르헤티 (1994-1996)
- 라파엘 마르케스 (1996-1999)
- 마리오 멘데스 (1998-2004)
- 알레망 (2000-2004)
- 피네이루 (2004)
- 호베르치 (2004-2005)
- 다닐루 (2005-2006)
- 안드레스 과르다도 (2005-2007)
- 파브리시오 푸엔테스 (2005-2006)
- 루카스 바리오스 (2006)
- 데니스 카니사 (2006-2007)
- 에마누엘 비야 (2006-2007)
현역 선수 및 임대 선수 명단은 각각 현역 선수 및 임대 선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현역 선수
2024년 8월 13일 갱신 기준 선수 명단.
|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 2 | DF | 우고 네르보 | |
| 7 | MF | 레이문도 풀헨시오 | |
| 8 | MF | 마테오 가르시아 | |
| 11 | FW | 마우로 마노타스 | |
| 12 | GK | 카밀로 바르가스 | |
| 15 | MF | 욘 무리요 | |
| 29 | MF | 브라이언 로사노 | |
| 1 | GK | 호세 에르난데스 | |
| 3 | DF | 이데켈 도밍게스 | |
| 4 | DF | 아드리안 모라 | |
| 5 | DF | 마테우스 도리아 | |
| 6 | MF | 에드가르 살디바르 | |
| 9 | FW | 우로스 주르제비치 | |
| 13 | DF | 가디 아기레 | |
| 17 | DF | 리발도 로자노 | |
| 18 | MF | 헤레미 마르케스 | |
| 19 | FW | 에두아르도 아기레 | |
| 21 | DF | 카를로스 로블레스 | |
| 25 | FW | 레오나르도 플로레스 | |
| 26 | MF | 알도 로차 | |
| 27 | GK | 안토니오 산체스 | |
| 30 | MF | 아브라함 바스 | |
| FW | 구스타보 델 프레테 | ||
| 4 | DF | 호세 아베야 | |
| 5 | DF | 안데르손 산타마리아 | |
| 7 | MF | 오지에르 에레라 | |
| 8 | MF | 아니발 차라 | |
| 9 | FW | 훌리오 풀치 | |
| 10 | MF | 에디손 플로레스 | |
| 14 | DF | 루이스 레예스 | |
| 15 | DF | 디에고 발보사 | |
| 17 | MF | 하시엘 마르티네스 | |
| 19 | MF | 에디아일토 오르테가 | |
| 20 | FW | 알베르토 오세호 | |
| 22 | GK | 안토니오 산체스 | |
| 23 | DF | 알레한드로 고메스 | |
| 28 | FW | 크리스토페르 트레호 | |
| 33 | FW | 훌리안 키뇨네스 |
5. 2. 임대 선수
| 포지션 | 이름 | 국적 | 비고 |
|---|---|---|---|
| FW | 조르디 카이세도 | Jordy Caicedo|호르디 카이세도es | 히혼 스포르팅으로 임대 |
| FW | 호르헤 구스만 | 멕시코 | 요크 유나이티드 FC로 임대 |
| FW | 크리스토퍼 트레호 | 멕시코 | 아틀레티코 모렐리아로 임대 |
6. 역대 감독
| 감독 | 임기 |
|---|---|
| Милош Милутиновић|밀로시 밀루티노비치sr | 1975 ~ 1976 |
| Marcelo Bielsa|마르셀로 비엘사es | 1992 ~ 1994 |
| Rubén Omar Romano|루벤 오마르 로마노es | 2006 ~ 2007 |
| Ricardo La Volpe|리카르도 라볼페es | 2009 |
| Rubén Omar Romano|루벤 오마르 로마노es | 2011 |
| Rubén Omar Romano|루벤 오마르 로마노es | 2018 |
| Mario Zanabria|마리오 사나브리아es | 1992.7–1993.6 |
| Marcelo Bielsa|마르셀로 비엘사es | 1993.7–1995.1 |
| 하비에르 트렌테 | 1995.1–199? |
| 에프라인 플로레스 (잠정) | 1995.2–1995.6 |
| 에프라인 플로레스 | 1996.7–1997.3 |
| Ricardo La Volpe|리카르도 라 볼페es | 1997.7–2001.6 |
| 에프라인 플로레스 | 2001.9–2001.12 |
| 엔리케 메사 | 2002.1–2002.9 |
| 페르난도 키랄테 | 2002.10–2003.9 |
| 세르히오 부에노 | 2003.9–2005.4 |
| 다니엘 구스만 | 2005.7–2006.4 |
| Rubén Omar Romano|루벤 오마르 로마노es | 2006.7–2007.9 |
| 호르헤 카스타녜다 (잠정) | 2007.9–2007.9 |
| 토마스 보이 | 2007.9–2007.12 |
| Miguel Ángel Brindisi|미겔 앙헬 브린디시es | 2008.1–2008.9 |
| Darío Franco|다리오 프랑코es | 2008.9–2009.1 |
| Ricardo La Volpe|리카르도 라 볼페es | 2009.1–2010.1 |
| Carlos Ischia|카를로스 이스키아es | 2010.1–2010.8 |
| 호세 루이스 마타 (잠정) | 2010.8–2010.10 |
| 벤하민 갈린도 | 2010.8–2011.6 |
| Rubén Omar Romano|루벤 오마르 로마노es | 2011.7–2011.9 |
| 후안 카를로스 차베스 | 2011.9–2012.8 |
| 토마스 보이 | 2012.8–2013.6 |
| Omar Asad|오마르 아사드es | 2013.7–2013.10 |
| 호세 루이스 마타 | 2013.10–2013.11 |
| 토마스 보이 | 2013-2015 |
| Gustavo Matosas|구스타보 마토사스es | 2015 |
| Gustavo Costas|구스타보 코스타스es | 2015-2016 |
| 호세 과달루페 크루스 | 2016-2018 |
| 헤랄도 에스피노사 | 2018 |
| Rubén Omar Romano|루벤 오마르 로마노es | 2018 |
| 헤랄도 에스피노사 | 2018 |
| Ángel Guillermo Hoyos|앙헬 기예르모 오요스es | 2018-2019 |
| Leandro Cufré|레안드로 쿠프레es | 2019-2020 |
| 라파엘 푸엔테 Jr. | 2020 |
| Diego Cocca|디에고 코카es | 2020-2022 |
| 벤하민 모라 | 2022- |
7. 유니폼 스폰서 및 제조사
| 기간 | 유니폼 제조사 | 셔츠 파트너 |
|---|---|---|
| 1989–90 | Pajarito Sport | Helados Bing |
| 1990–91 | Vicmar | 페냐피엘 |
| 1991–92 | Pajarito Sport | 페냐피엘 |
| 1992–93 | Vicmar | 페냐피엘 |
| 1993–94 | 엄브로 | 테카테 |
| 1994–95 | 아바 스포츠 | 테카테 |
| 1995–96 | 아바 스포츠 | 스폰서 없음 |
| 1996–99 | 아틀레티카 | 코로나/에스트레야 할리스코 |
| 1999–00 | 아틀레티카 | 코카콜라/코로나/에스트레야 할리스코 |
| 2000–01 | 아틀레티카 | 코카콜라/옴니라이프/코로나 |
| 2001–02 | 나이키 | 코카콜라/옴니라이프/코로나 |
| 2002–03 | 나이키 | 코카콜라/코로나 |
| 2003–04 | 나이키 | 코카콜라/코로나/텔셀 |
| 2004–05 | 카파 | 코카콜라/Bedoyecta |
| 2005–06 | 카파 | 코카콜라/스카이/코로나 |
| 2006–07 | 카파 | Bedoyecta/코카콜라/코로나 |
| 2007–08 | 아틀레티카 | Bedoyecta/코카콜라/코로나/스카이/메가케이블 |
| 2008–09 | 아틀레티카 | DiversityCapital/코카콜라/코로나/스카이/메가케이블 |
| 2009–10 | 아틀레티카 | 할리스코/코카콜라/코로나 |
| 2010–11 | 아틀레티카 | 코카콜라/Lubricantes Akron/코로나 |
| 2011–12 | 아틀레티카 | 코카콜라/과달라하라 2011/Lubricantes Akron/코로나 |
| 아페르투라 2012 | 아틀레티카 | 코카콜라/Lubricantes Akron/코로나 |
| 2013–14 | 나이키 | 코카콜라/Casas Javer/코로나/볼라리스/스카이 |
| 2014–17 | 푸마 | 브리지스톤/코카콜라/스카이 스포츠/아즈테카/코로나/반코 아즈테카/볼라리스 |
| 2017–18 | 아디다스 | 코로나/코카콜라/스카이 스포츠/아즈테카/반코 아즈테카/볼라리스 |
| 2018–19 | 아디다스 | 에스트레야 할리스코/코카콜라/토탈플레이/린리오/반코 아즈테카/Ganabet/모빌 |
| 2019–2020 | 아디다스 | MoPlay/Urrea/옥소 가스/반코 아즈테카/버드 라이트/INTERprotección/Unifin |
| 2020– | 찰리 | 반코 아즈테카/Urrea/Perdura/칼리엔테/칼스 주니어/둘세 데 라 로사/Berel/비바에어로버스/Dalton Seminuevos/Hospital Contry 1000/Lubricantes Akron/Electrolit/Totalplay/Seguros Atlas/레드 콜라/Omnibus de México |
참조
[1]
웹사이트
Football stadiums of the world – Stadiums in Mexico | Football stadiums of the world
http://www.fussballt[...]
2021-04-11
[2]
웹사이트
Mexico – CSyD Atlas de Guadalajara
https://int.soccerwa[...]
2017-01-04
[3]
웹사이트
¿Qué equipos han sido Bicampeones en México?
https://www.goal.com[...]
2022-09-29
[4]
웹사이트
En la élite
https://www.oncediar[...]
2022-05-30
[5]
웹사이트
Atlas logra su segunda estrella de la Liga MX
https://www.marca.co[...]
2021-12-13
[6]
뉴스
Mexican soccer league suspends all Sunday matches after fan riot
https://au.sports.ya[...]
2022-03-06
[7]
뉴스
Mexico Soccer Riot Leaves 22 Injured, Officials Say
https://www.nytimes.[...]
2022-03-06
[8]
뉴스
At least 22 injured in brawl at Mexican soccer match
https://apnews.com/a[...]
2022-03-06
[9]
뉴스
Liga MX: Queretaro home fans banned for 1 year, 'barras' get 3-year ban; owners must sell club
https://www.espn.com[...]
2022-03-08
[10]
웹사이트
Aplican Ejemplares Sanciones al Club Querétaro y Toman Medidas de Control
https://www.ligamx.n[...]
Liga MX
2022-03-08
[11]
URL
http://nl.soccerwa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